WALL STREET TRAINING
인프라/에너지 모델링 수업
과정소개
인프라, 에너지 분야의 특수성을 띈 모델과 사업/투자 구조를 반영하는. 가치평가 및 수익률 분석 모델을 직접 만드는 수업
수업목적
인프라 및 에너지 섹터는 일반적인 제조/서비스업과는 비지니스 모델, 정부규제, 세금, 자금조달 방식 등 다양한 차이가 있습니다. 이러한 투자 규모가 크고 글로벌하게 진행되는 에너지 / 인프라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수업 |
과거 수강생 회사

모델링 예시
추천수강자
01
각종 건설, 에너지, 인프라, 대체투자 분야에서 인프라 및 에너지 투자 분석을 하는 실무자
02
실무자 1~10년 차 혹은. 금융모델링 기본과정 이수자
03
건설사 및 인프라 기업으로 실제 SOC 사업을 하는 기업의 사업 담당자
강사
뉴욕, 홍콩과 같은 수준의 금융 모델링 교육
Ash 강사
국내/외국계 자산운용사 인프라 투자팀 근무 경력
외국계 및 국내 자산운용사에서 북미, 유럽 인프라 Cross-border M&A 및 Debt Financing 업무를 수행하면서 해외 전통/신재생 발전소, PPP 자산 등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실사업무 및 Financial Model 작성 및 검토를 수행하였습니다.
현재는 외국계 인프라 사모펀드의 Inbound 투자팀에서 에너지 인프라 사업의 개발단계부터 지분 인수, 회사 운영 및 관리 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투자 실행 전후 Financial Modelling을 전담하고 있습니다.
다년간의 인프라 펀드에서 근무하며 습득한 인프라 투자 및 관리/운영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투자 대상의 초기 실사부터 투자 실행,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을 기초부터 심화까지 모두 전달합니다.
Syllabus
* 온라인신청페이지로 가시면, 샘플 강의 영상도 시청 가능합니다.
인프라 이론 1: Infrastructure overview
– A. 수업소개: 목차, 주요 세부 섹터
– B. 프로젝트 유형
– C. 프로젝트 특징
– D. 수요 및 트렌드
– E. 프로젝트 특징 및 주요 참여자
– F. 주요 은행 및 펀드
인프라 이론 2: 모델 개요
– A. 모델의 특징
– B. 프로젝트 현금흐름 구조
– C. 사업의 계약구조
인프라 모델(실습): Revenue to EBITDA
– A. Indicator
– B. Operation energy margins
– C. Gross margin
– D. Operating expenses
– E. Maintenance CapEx summary
인프라 모델(실습): Construction funding
– A. Indicator (LTV)
– B. Upfront, IDC, S&U
인프라 이론 3: Forms of infrastructure debt
– A. 대출 및 채권의 종류
– B. Terms and conditions
– C. 관련계약의 종류
– D. Project financing
– E. PF risks
인프라 모델(실습): Waterfall debt schedule
– A. Indicator reference overview
– B. Debt schedule
인프라 모델(실습): Financial statement balance
– A. Income statement balance reference
– B. PP&E
– C. Equity, dividend, liquidation
수익 총정리
– A. Investment returns
– B. Sensitivity analysis
Case study: Oil & Gas, ESS, 신재생
– A. Case study: Oil & Gas, ESS, 신재생
신재생에너지: 이론
– A. 국내 산업의 트렌드
– B. 신재생 매출 구성
신재생에너지: 모델(태양광)
– A. Revenue & Operation
– B. Operating expenses
부록
– A. 채권보전장치
– B. 이익배당한도액
Quiz
– A. LBO, 벨류에이션 이해도 체크를 위한 퀴즈 – Mezzanine 금리를 계산하기
– B. 자본 재조정으로 수익률/재무효율을 높이는 방법
오프라인 수업 가격안내
가격